학과(전공) 교육목표
사회교육과는 사회과학 전반에 걸친 지식과 그 탐구 방법을 종합적으로 습득케 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육방법의 연구 및 장차 유능한 사회과 교사를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회교육과 전공의 특징은 사회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알찬 교과과정의 이수를 통해 사회과교육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할 인재를 양성 배출함에 있으며,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중시되고 있는 가치·태도 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교과교육 이론 및 방법론 외에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법학, 철학 등 사회과학 제분야가 다양하게 교과과정에 편성되어 있어 졸업 후의 진로 폭을 넓혀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사회교육전공 등 연계전공을 운영하여 역사학, 윤리학, 지리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지식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한다.
첫째, 민주적 자질을 갖춘 사회과 교사
둘째, 사회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교사
셋째, 국제사회 이해능력과 협력정신을 갖춘 교사
중장기 발전(특성화)계획 및 실천 전략
교육
-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하여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반영
- 융합·통합 교육과정 운영 및 팀티칭 등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 운영 반영
- 지역화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비교과 수업 운영 보완 및 지역 사회와 연계성 강화
학생
- 교과 활동 뿐만 아니라 자유학기, 창의적 체험 활동 등과 같은 예비교사의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 실제 학교 현장의 수업 방법 및 활용방안에 대한 탐구를 통해 예비교사의 수업 역량 제고
-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고 필요로 하는 종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계발
연구
- 전임교원의 수업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법 세미나 등의 참여
- 지역 사회 교육 현장과 연계한 연구 활성화 방안 모색
교육환경 개선
- 강의실 기자재 개선 및 4차 산업시대에 적합한 교수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 개선 모색
- 온라인 수업 시대를 대비하여 다양한 온라인 수업 촬영을 위한 교육 기자재 확충
실천전략
- 사회과 예비교사의 지역화교육 역량 강화 사업 실시(지역사회수요 맞춤형)
- 중등교육과 연계하여 예비교사 현장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세미나 실시
-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학과 프로그램 실시
- 중등 임용고시 합격자 설명회 및 특강 실시
- 학교현장실습 참관 및 임장지도를 통하여 교수법 연구 활성화 및 교사역량 증진
- 통합적 사고 역량 증진을 위한 연계전공 통합사회교육전공 운영의 활성화
- 국립대학육성사업 등의 지원 활용을 통한 기자재 확보
전공능력
탐구능력
탐구계획을 통해 사회과학 전반에 걸친 지식을 탐구
자료분석능력
설문자료, 도표, 그래프 등의 양적 연구 자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찰, 인터뷰 등의 질적 연구 자료 등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
문제해결력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사회 갈등을 조정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의사결정력
다양한 대안을 비교 검토하여 대안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
비판적 사고력
숨겨진 가정, 논리적 모순, 사실의 진위 여부등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
창의적 사고력
기존의 사고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많은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사회과 교육능력
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지식과 탐구 방법을 학습자에게 적절하게 교육할 수 있는 능력
진로(취업) 분야
1.중·고등학교 사회과 교사 - 중·고등학교의 사회과(통합 사회과 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 관련 교과목)관련 교사로 진출
2.일반 또는 교육행정공무원 - 사회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지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각종 사회일반 및 교육계의 행정적 요구를 해결하는 공무원으로 진출
3.공기업, 사기업 및 국제 기구 - 사회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은 공기업 및 사기업의 기획 및 전략 업무 수행에 적용될 수 있고, 민주적 자질의 함양과 교육능력을 통하여 인사 및 사내 교육, 사회공헌 업무를 수행하는 곳으로 진출 할 수 있다. 또한 국제사회 이해능력과 협력정신의 함양을 통하여 국제 기구 및 국제 협력 부서에서도 활약 가능
4. 언론계 및 방송계 - 제 사회과학에 대한 지식을 통한 사회를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하여 언론계 및 방송계로 진출 가능
5. 진학 및 연구 - 제 사회과학의 내용을 다루므로 사회과학 관련 분야 및 교육 관련 대학원으로 진학하거나 연구에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