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염미경 교수

  • 세부전공

    지역사회학 이주·다문화교육 사회·문화교육

  • 연구실사범대학 2호관, 2237
  • 전화/국제전화064-754-3246/82-64-754-3246
  • 이메일mgyeum@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전남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국가연구자번호: 10028040)

주요경력

제주대학교 인권센터장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장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한국열린교육학회, 제주학회 이사
제주4?3평화재단 비상임 이사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조정)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민간위원
전남대학교 연구교수
Center for Social and Urban Research, University of Pittsburgh, Post-doc. Scholar
國際東アジア硏究センタ-, 연구원
제주학회 학술상(저서상) 수상

주요논문

1. 논문
「제주지역 인권보장 제도화와 인권의 지역화 방향 모색」(2022)
「지역사회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2021)
「마을만들기 전략으로서 제주 농촌의 학교 살리기 사례 분석과 지속가능 지역교육공동체 탐색」(2021)
「산업화 시기 제주로 이주한 전라도 사람들의 지역 적응 전략으로서 지연공동체 형성과 변화」(2021)
「제주지역 마을공동체 조사지표를 활용한 마을공동체 회복력 평가지표 탐색」(2020)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학교 살리기`와 마을교육공동체의 형성 가능성」(2020)
「교육의 지역화를 위한 대학-고교 연계 인문?사회 분야 R&E 모델 및 사례연구」(2019)
「제주이주와 지역사회변화 그리고 대응」(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2018)
「무형문화재의 전승원리와 전통방식 해석에 따른 전승 구도 변화와 대응」(2018)
「산업화 시기 제주이주민의 지역 정착과 사회연결망」(2018)
「지역에서의 글로벌과 다문화교육 사례 고찰을 통한 학제 간 융합 글로벌-다문화교육」(2017)



2. 저서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2021)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방법론』(2018)
『구술사로 이해하는 제주사회 _ 방법과 실제』(2018)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일본 소수자 문제』(2018)
『제주옹기와 사람들: 소멸과 재현의 지역사』(2012)
『제주사회의 여성결혼이민자들: 선택과 딜레마, 그리고 적응』(2008)
『전쟁과 기억: 마을공동체의 생애사』(2005)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2003)

+-

정진현 교수

  • 세부전공

    거시경제 국제경제 경제교육

  • 연구실사범대학 2호관, 2238
  • 전화/국제전화064-754-3247/82-64-754-3247
  • 이메일jhjeong@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부산대학교 경제학 박사
부산대학교 경제학 석사
부산대학교 경제학 학사

주요경력

2005∼현재 :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2000∼2005 :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주요논문

- 환율의 주식시장에 대한 비대칭성 분석모형의 예측력 비교, 무역통상학회지, 2020.
- 환율, 외국인 주식거래와 주가간의 상호연관성, 무역통상학회지, 2019.
- 환율의 비선형성 분석, 무역통상학회지, 2018.
- 금융통합의 경제성장에 대한 비선형관계 분석, 무역통상학회지, 2017.
- 공공투자와 민간투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재정정책논집, 2017.
- 세계화 관련 경제교과서 분석, 경제교육연구, 2016.
- 한국의 경상수지 안정성 분석, 무역통상학회지, 2015.
- 세계화에 대한 평가 준거와 경제교과 교육에서의 제언, 경제교육연구, 2015.
- 한국의 저축과 투자간 장기 관계, 무역통상학회지, 2015. 등

+-

김일방 교수

  • 세부전공사회철학교육
  • 연구실사범대학 2호관, 2239
  • 전화/국제전화064-754-3248/82-64-754-3248
  • 이메일heracles@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경북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사회철학교육)

주요경력

한라대학 강사 및 겸임교수
대한철학회 편집위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
대한철학회 학술상 수상(2005.5)
한국철학회, 대한철학회, 새한철학회, 한국환경철학회 회원

주요논문

1. 논문
바람직한 학교문화와 교사의 역할
인간 이외의 존재의 도덕적 지위와 권리, 철학연구 제69집
생태학적 위기의 정신사적 근원, 철학연구 제70집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윤리에 대한 비판, 철학연구 제75집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비판, 철학연구 제84집
알도 레오폴드의 대지윤리론 비판, 철학연구 제86집
지구생태계의 복리와 국가간 분배 정의(제3회 대한철학회 학술상 수상 논문), 철학연구 제92집
자발적인 소박함을 둘러싼 철학적 논쟁, 철학연구 제96집
진보에 대한 성찰, 철학연구 제104집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세계화 윤리, 철학연구 제108집
개럿 하딘(Garrett Hardin)의 구명보트 윤리(Life-boat Ethics)에 대한 일고찰, 환경철학 제8집(2009.12)
환경 위기의 정신사적 근원, 교육과학연구 제12권(2010)
환경문제에 대한 현실적 접근과 그 한계, 그리고 그 대안, 철학논총 제66집(2011)
채식주의의 철학적 근거(2012)
Hans Jonas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일고찰(2013)
Hans Jonas의 맑스주의 비판에 관한 고찰(Ⅱ)(2014)
J. Passmore의 환경사상에 관한 비판적 고찰(철학논총, 2015)
J. B. Foster의 환경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철학논총, 2015)
동물의 권리를 둘러싼 논쟁: T. Regan과 C. Cohen의 견해를 중심으로(환경철학, 2015)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철학연구, 2016)
비인간중심주의 환경윤리의 내재적 가치?권리론에 관한 비판적 입장 고찰(철학연구, 2016)
근대 소유론과 그 한계 그리고 새로운 소유권 개념(환경철학, 2016)
'수업 중 10분 독서'가 중학생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7)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환경철학, 2017)
존 로크(John Locke)의 자연관에 관한 분석적 고찰(환경철학, 2017)
Herman Daly의 생태경제사상: 그 형성배경을 중심으로(환경철학, 2018)
지구온난화 논쟁과 그 대안(환경철학, 2018)



2. 저서
현대윤리에 관한 15가지 물음 (서광사, 1999)
환경윤리란 무엇인가 (중문, 2001)
환경윤리의 쟁점 (서광사, 2005)
생태문화와 철학(공저) (금정, 2007)
삶, 그리고 생명윤리 (서광사, 2007)
환경윤리의 실천 (이담북스, 2012)
모럴 아포리아 (글항아리, 2013)
종교와 동물 (공저, 모시는 사람들, 2014)
환경문제와 윤리(제주대학교출판부, 2019)
환경문제와 윤리 (개정판) (보고사, 2020)
환경사상의 흐름: 데카르트에서 포스터까지, 자연을 사유한 10인의 사상가 (그린비, 2022)
미래를 위한 환경철학(공저, 연암서가, 2023)
서양의 환경생태철학(공저, 교육과학사 2023)

+-

이소영 부교수

  • 세부전공

    인권법 법사회사 법문학 법철학

  • 연구실사범대학2호관, 2240
  • 전화/국제전화064-754-3245/+82-64-754-3245
  • 이메일postsoyoung@gmail.com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2010.8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박사 (법학원리 전공)
2005.8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석사
2003.2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학사

주요경력

독일 튀빙겐대학교 강사(full-time)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시간강사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박사후연구원(블레즈 파스칼 프랑스 정부장학금 수여)
미국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 박사과정연구원(Visiting Fellow Program 장학금 수여)

주요논문

1. 논문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의 서사와 인권 ―황정은 소설에 재현된 ‘상처 입을 가능성’에 대한 법문학비평」, 『현대문학이론연구』(제85집, 2021)
「탈냉전시기 유럽의 기억전쟁과 법의 개입」, 『법학연구』(제62권, 2020)
「‘죽을 권리’와 생명정치*: 생명의 종결을 둘러싼 법담론 분석의 한 예」, 『법학연구』(제61권, 2020)
「역사부정 규제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 : 5.18왜곡처벌 법안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법과 사회』(제61호, 2019)
「‘건전한’ 혼례의 법제화: 가정의례준칙을 통한 호화결혼식 단속, 1969-1984」,『법과 사회』(제57호, 2018)
"Taking Laughter Seriously: The Politics of Memory in Regulating Jokes on Korea’s Colonial/Dictatorial Past", Asia Europe Journal (Vol.15, 2017) [SSCI]
「근대저작권에서 ‘저작’ 개념의 문화적 재구성: 법인류학적·법문학적 접근」,『가천법학』(제10권 제1호, 2017)
「환경형법에 있어서 ‘효율성’ 개념의 재구성」, 『환경법과 정책』(제7권 제1호, 2017)
「"건전사회"와 그 적들: 1960-80년대 부랑인단속의 생명정치」,『법과 사회』(제51호, 2016)
「우리를 가르는 울타리, ‘우리’라는 울타리- 미국 청소년역사책 시리즈에서 배제/포섭의 서사」,『역사문제연구』(제33호, 2015)
「법문학비평과 사회적 기억의 구성: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서 ‘법을 통한 과거청산’의 아포리아」,『서강인문논총』(제40집, 2014)
「법이 부착한 ‘부랑인’ 기표와 그 효과: 형제복지원 기억의 재현과 과거청산 논의의 예에서」,『법철학연구』(제17권 제2호, 2014)
"A Strategy of Exclusive Inclusion?: Critical Analysis on Legal Framing of ‘Normal Family’", Asian Legal Philosophy (Vol.1 No.1, 2014)
「기억의 규제와 '규제를 통한 기억하기'?: 홀로코스트 부정의 규제 법제와 사회적 기억의 구성」,『법학연구』(제21권 제4호, 2013)
「건강가정 보호의 법적 계보: 건강가정기본법의 ‘건강가정’ 개념에 대한 계보학적 담론분석」,『가족법연구 』(제26권 제3호, 2012).
「식민지 검열에서 법과 문학의 상호형성: 식민지 말기 최정희 소설에서의 중층적 검열을 중심으로」,『법철학연구』(제15권 제2호, 2012)
「기억의 정치와 ‘법을 통한 과거청산’ 담론 비판」,『외법논총』(제35권 제2호, 2011)
「법문학비평과 소수자의 내러티브: 박민규, 윤성희, 김애란의 단편소설에 대한 법문학비평」,『법철학연구』(제14권 제1호, 2011)
「법학과 포스트모던적 사유: 포스트모던 법학에의 세가지 입론(入論)」,『성균관법학』(제23권 제1호, 2011)



2. 저서 및 역서
『별것 아닌 선의』(어크로스, 2021)
『혐오표현, 자유는 어떻게 해악이 되는가?』(제레미 월드론 저, 이후, 2017), 2인 공역
『인문학과 법의 정신』(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3인 공저



3. 서평 및 비평
「‘작은’ 이야기들로 복원해낸 해방공간의 법률가들」, 『창작과비평』(통권183호, 2019)
「두 글자의 사유: 연대」,『포지션』(제17호, 2017)
「농담으로의 탈주, 혹은 ‘버팀터’로서의 농담- 김애란 소설들에 나타난 농담의 저항성」,『작가마당』(제24호, 2014)
「'모(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글쓰기들의 트랜스내셔널 상상력」,『역사와 문화』(제26호, 2013)

+-

김민수 조교수

  • 세부전공

    정치학 서양정치사상 시민교육

  • 연구실사범대학 2호관, 2241
  • 전화/국제전화064-754-3244/+82-64-754-3244
  • 이메일iooof@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

주요경력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후 연구원(한국연구재단 박사후 국내연수)
고려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광운대학교 시간강사

주요논문

1. 논문
「전체주의의 기원 다시 읽기 - 교육적 함의와 현재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2022)
「한나 아렌트의 '사회적인 것'의 의미와 '권리를 가질 권리'의 난점」, 『인문과학연구』(2021)
「한나 아렌트의 인권의 정치와 환대의 윤리」, 『평화연구』(2020)
「냉전기 비동맹 국제정치의 의미와 한계」, 『인문과학연구』(2020)
「한나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에 내재된 행위 개념의 의미와 곤란」, 『민주주의와 인권』(2019)
「감정과 정동 사이: 감정의 역사화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역사와경계』(2019)
「냉전기 국제정치이론의 발전: 록펠러 컨퍼런스(Rockefeller Conference)를 중심으로」, 『사총』(2018)
「Human Rights: Politically Conceived in Rawls and Arendt」, 『민주주의와 인권』(2018)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에 나타나는 근대 민족국가와 인간의 권리문제-제도와 권리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사총』(2018)
「이주민 시민권으로서의 다문화주의 시민권의 한계와 대안: 벤하비브의 시민권 정치를 중심으로」, 『평화연구』(2015)



2. 저서 및 역서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2』(도서출판 역락, 2022) 공저
『아담의 오류』(던컨 폴리 저, 후마니타스, 2011) 공역

+-

한석지 명예교수

  • 세부전공

    정치학 국제정치학 지방정치학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064-754-3240/82-64-754-3240
  • 이메일han727@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건국대학교 정치학박사

주요경력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장
제주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
제주대학교 교수회 회장
제주대학교 평의원회 의장
교육과학연구소 소장
제주대학교 신문방송사 주간

주요논문

1. 논문
세계 냉전체제의 붕괴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제대논문집, 제39집, 1994
제주섬 정체성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제주도연구, 제15집, 1998
Ocean Tolerance and A Model for Island Development, Jounal of Island Studies, Vol.1, 1998
The Resistance of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s, Jounal of Island Studies, Vol.1, 2000
1980년대 한국의 경제정책 변화와 정책선택의 정치, 동아시아연구논촌, 제11집, 2001
한?미 관계의 변화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백록논총, 제3집, 2001
제주지역시민단체의 조직적 역량과 활동 분석, 제주도연구, 제19집, 2001
농촌개발과 지역 거버넌스, 지역사회학, 5권 2호, 2004
제주 4·3학살과 미국의 책임, 백록논총, 제6권 제1호, 2004
한국의 지방정치와 지역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2005
제주학에서 지역연구의 성과와 전망, 제주도연구, 30집, 2006.
섭지코지의 관광지화와 지역거버넌스, 지역사회학, 제8권 1호, 2006
괜당문화와 지방선거-한 후보자의 출신지 유권자 집단분석, 지역사회학, 제8권 1호, 2006



2. 저서
미국지방정치론, 대왕사, 2001
지역발전의 지방정치학:제주 지방정치와 개발정책, 인간사랑, 2008.

+-